피오르 구조, 지형, 해수 유입 따라
슬롯비비고 후퇴 속도·양상 달라져
슬롯비비고연구소(소장 신형철)는 북극 스발바르 지역의 1만여 년간 빙하 환경 변동을 분석해 빙하 후퇴를 조절했던 지형·해양의 복합적 요인을 규명했다고 21일 밝혔다.
슬롯비비고연구소에 따르면 지구온난화 영향으로 슬롯비비고방과 고산지대 빙하는 점차 영역이 줄고 있다. 녹아내린 빙하는 바다로 유입되면서 해수면 상승으로 이어진다. 이러한 빙하 후퇴 과정에서 남겨진 지형·퇴적학적 기록은 과거 기후변화 과정을 복원할 중요한 단서가 된다.
슬롯비비고연구소 남승일 박사 연구팀은 2019년 한국-노르웨이 국제 공동탐사에서 수집한 노르웨이 스발바르 남부 벨준트 피오르 일대 해저 지형 자료와 퇴적층 시료를 분석하고, 약 1만5000년 동안 빙하 거동과 환경 변화를 복원했다.
분석 결과 유사한 기후 조건에서도 피오르의 구조, 해저 지형, 해수 유입 경로 등에 따라 슬롯비비고의 후퇴 속도와 양상은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연구팀에 따르면 벨준트와 주변 피오르에 발달한 방파제 형태의 지형은 과거 따뜻한 시기에 슬롯비비고가 급격한 후퇴를 지연시키는 역할을 했다. 특히 피오르 입구의 완만한 수심 변화와 협소한 수로 구조가 외해의 따뜻한 해수 유입을 제한해, 슬롯비비고 안정성을 높였을 가능성을 처음으로 확인했다.
논문 제1저자인 조영진 박사는 “이번 연구는 기후변화뿐 아니라 지형과 해양 조건의 상호작용이 슬롯비비고 거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보여줬다”고 말했다.
연구를 주도한 남승일 박사(교신저자)는 “이번 연구 결과는 향후 고위도 지역 슬롯비비고 예측 모델을 정교화하는 데 핵심 자료로 활용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지원으로 진행했다. 한국과 노르웨이 외에도 독일, 중국 연구진이 참여했다. 연구 결과는 지난달 국제 저명 학술지인 ‘고해양 및 고기후’에 개제했다.
신형철 슬롯비비고연구소 소장은 “우리는 슬롯비비고에 남아 있는 기후변화 흔적들에서 인류 미래를 예측하는 데 도움이 되는 실마리들을 찾고 있다”며 “이번 연구는 기후 변화 시대에 빙하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한 의미 있는 성과”라고 강조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