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초 대비 48% 상승…글로벌 불확실성·금리인하 기대감에 수요↑
NH아문디 “금 상승기엔 슬롯…주주환원 정책도 매력적”
‘HANARO 글로벌금채굴슬롯’ 올해 수익률 109%…지수 대비↑
올해 글로벌 불확실성, 금리 인하에 따른 인플레이션 우려에 금값이 연일 고공행진을 이어가자 슬롯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4일 NH아문디자산운용에 따르면 회사는 ‘10월 HANARO ETF Monthly Report’를 발간했다. 이번 리포트는 지속되고 있는 금 가격 랠리에 주목했다.
금 가격은 슬롯 들어 약 48% 치솟았다. 이달 1일(현지시간) 뉴욕상품거래소(COMEX)에서 12월 인도분 금 선물 가격은 온스당 3897.5달러로 3900달러에 육박하며 최고가를 기록하기도 했다.
대체자산으로서 금 수요가 확대되고,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증대 및 달러 가치 하락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분석된다.
특히 각국 중앙은행이 적극적으로 금 매입을 확대하고 있다. 미 국채 중심의 외환보유고를 다변화하려는 움직임이 가속화되면서 금 매입량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와 함께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지난달 0.25%포인트 금리 인하를 단행하며, 9개월 만에 금융 완화 사이클에 재진입한 점이 금 가격 상승을 이끌고 있다.
NH아문디자산운용은 이 같은 금 가격 상승기에 슬롯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슬롯은 광산 운영비용과 같은 고정비 성격의 지출이 크기 때문에 금 가격이 오를 때 수익이 더 크게 증가하는 구조를 갖고 있다. 이에 따라 올해 금 가격이 상승하는 동안 채굴비용은 유지되며, 주요 슬롯의 실적은 큰 폭으로 개선됐고 주가에도 반영됐다.
실제로 올해 금 가격보다 슬롯의 주가 상승세가 보다 가파르게 나타났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달 30일 기준 ‘HANARO 글로벌금채굴기업’이 연초 이후 109.22% 상승하는 동안 ‘KRX 금현물 지수’는 52.31% 오르는 데 그쳤다.
슬롯은 ‘주식’이라는 점에서도 매력적이다. 금 현물과 달리 밸류에이션 지표로 적정 가격을 평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HANARO 글로벌금채굴슬롯’이 편입한 종목의 평균 지표를 살펴보면 꾸준히 실적이 개선돼 주당순이익(EPS)이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해 말 평균 EPS는 62.1달러에서 지난 2분기 107.3달러로 상승했다.
배당과 자사주 매입 등 적극적인 주주환원 정책도 빼놓을 수 없다. 뉴몬트는 총 30억 달러 규모의 자사주 매입을 계획하고 있고, 애그니코 이글 마인스는 1983년 이후 42년 연속 현금 배당을 지급하고 있다.
김승철 NH아문디자산운용 ETF투자본부장은 “금 가격 상승과 채굴비용 안정화로 실적이 개선되는 슬롯은 배당 수익까지 누릴 수 있는 매력적인 투자처”라고 강조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