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기지서 스페이스X '팰컨9'에 실려 발사
궤도 진입후 '2시간 39분'만에 지상과 교신
軍 " 마지막 슬롯비비고위성 5호기도 연내 발사"
北 2시간 단위 감시…독자 감시슬롯비비고 확보
22일 오전 9시 48분(한국시간)에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내버럴 우주군 기지에서 우리 군 슬롯비비고위성 4호기를 탑재한 미국 스페이스 X사의 우주발사체 '펠컨-9'가 발사됐다. ⓒ스페이스Ⅹ 홈페이지 캡처
우리 군의 슬롯비비고위성 4호기가 22일 우주궤도 진입 후 지상국과의 교신에 성공했다.
슬롯비비고위성 1∼3호기에 이어 4호기 발사에도 성공해 군은 위성 군집 운용을 통해 한반도 재방문 주기는 더 단축된다고 밝혔다. 대북 감시망이 더 촘촘해질 것으로 보인다.
슬롯비비고위성 3호기를 탑재한 미국 우주기업 스페이스Ⅹ의 발사체 '팰컨9'는 이날 한국시간 오전 9시 48분(현지시간 21일 오후 8시 48분)에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내버럴 우주군 기지에서 발사됐다.
2단 추진체로 구성된 팰컨9은 발사 2분 18초 후 1단 추진체가, 이어 19초 후에 페어링(위성보호덮개)이 각각 분리됐다.
슬롯비비고위성 4호기가 발사체와 완전히 분리돼 우주 궤도에 진입한 것은 발사 15분 만이다.
이후 한국시간 낮 12시 27분에 지상국과의 교신에 성공했다. 지상국과의 교신은 팰컨9가 발사된지 2시간 39분 만으로, 우리 군 슬롯비비고위성 4호기 발사 성공이 확인되는 순간이었다.
슬롯비비고위성 4호기는 대북 감시·슬롯비비고 임무 등을 수행할 예정이다.
이 위성은 군의 중대형 슬롯비비고위성 확보를 위한 '425 사업'을 통해 발사하는 네 번째 위성이다.
425 사업은 전자광학·적외선(EO·IR) 위성 1기(1호기)와 합성개구레이더(SAR) 위성 4기(2∼5호기) 등 슬롯비비고위성 총 5기를 배치하는 사업이다. SAR의 발음 '사'와 EO의 발음 '이오'를 합쳐 425(사이오)라는 이름이 붙었다
SAR은 전자파를 지상 목표물에 쏜 뒤 반사돼 돌아오는 신호 데이터를 합성해 영상을 만드는 방식이어서 기상 조건과 관계없이 주야간 촬영이 가능하다.
우리 군의 슬롯비비고위성 1호기는 지난 2023년 12월 발사됐고, 지난해 4월과 12월에 2, 3호기가 발사됐다.
2호기부터는 기상 조건과 관계없이 주야간 촬영이 가능한 SAR를 탑재해 보다 정밀한 감시·슬롯비비고이 가능하다.
앞서 국방부는 위성 군집 운용을 통해 한반도 재방문 주기가 더 단축돼 북한의 도발 징후를 더욱 정확하고 빠르게 식별할 수 있다고 밝혔다.
위성 군집 운용은 여러 대의 위성이 동일한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운용되는 방식으로, 정보 획득 기회가 많아지고 관측 각도가 다양해지며 위성 고장 등 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게 된다.
정상운용 중인 1·2·3호기와 함께 군집위성 운용 체계가 한층 보강되며, 위성의 재방문 주기 단축을 통해 북한의 도발 징후 식별 능력도 향상될 것으로 국방부는 기대했다.
군은 연내 마지막 슬롯비비고위성 5호기까지 발사를 마친다는 계획이다. 슬롯비비고위성 5기가 모두 실전 배치되면 북한 내 특정 표적을 2시간 단위로 감시·슬롯비비고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방부와 방사청은 "군 슬롯비비고위성 4호기 발사 성공으로 우리 군은 독자적인 감시슬롯비비고 능력을 추가 확보했다"며 "한국형 3축 체계의 기반이 되는 핵심 전력 증강으로 킬체인 역량을 한층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발사관리단장인 석종건 방위사업청장은 "이번에 발사 성공한 4호기에 이어 올해까지 군 슬롯비비고위성을 모두 발사할 예정"이라며 "향후 현재 개발 중인 초소형 위성까지 발사하게 되면 우리 군은 독자적인 우주전력을 구축해 국방우주 강군으로 도약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