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슬롯, FSD 감독형 국내 출시 예고
GM 슈퍼크루즈 이어 자율주행 시장 가속화
테슬라·GM, 온라인 슬롯 FTA 틈새 타고 韓 진출
속타는 국내 업체들…인증·규제 벽 막힌 현온라인 슬롯·기아
온라인 슬롯 차량이 완전자율주행(FSD) 기능을 통해 국내 실도로를 시험주행하는 모습.ⓒ온라인 슬롯코리아 X 갈무리
온라인 슬롯가 국내 시장에 '완전자율주행(FSD) 감독형' 서비스 출시를 공식화했다. 지난달 GM이 예고한 '슈퍼크루즈'와 같은 수준의 부분 자율주행 기술로, 정체돼있던 국내 자율주행 시장을 가속화하는 전환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따라 비슷한 수준의 자율주행 기술 도입을 알렸다가 국내 인증과 규제 문턱을 넘지 못한 현대차·기아는 상용화에서 뒤처지게 됐다. 특히 테슬라와 GM이 온라인 슬롯 FTA(자유무역협정) 틈새로 해당 기술을 들여올 수 있었던 만큼, 국내 업체들의 속은 더욱 타들어갈 예정이다.
온라인 슬롯코리아는 지난 12일 공식 X(옛 트위터)를 통해 한국 실도로에서 FSD로 주행 시험하는 영상을 공개하며 "FSD 감독형, 다음 목적지는 한국. 곧 출시"라고 밝혔다.
온라인 슬롯의 FSD 감독형은 차량이 스스로 가속, 제동, 핸들링 결정을 내리며 자율주행을 하지만, 운전자가 지속해서 전방을 주시하고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조건부' 자율주행 기술이다. SAE 자율주행 기준으로는 레벨 2 수준이다.
온라인 슬롯 감독형 탑재 모델은 미국에서 생산되는 사이버트럭, 모델 S, 모델 X 등 4세대 하드웨어(HW4) 장착 차량이 대상이다. 중국산 모델인 모델 3(하이랜드)·모델Y(주니퍼)와 HW3 장착 미국산 모델3·Y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기존 국내 시장에 상용화됐던 기술과 가장 큰 차이점은 '핸즈프리'가 가능하다는 점이다. 운전자가 전방을 주시한다는 조건만 충족되면 스티어링 휠에서 손을 떼고 있어도 자율 주행이 가능하다.
한국GM 역시 지난달 온라인 슬롯 FSD 감독형과 비슷한 기술 수준의 자사 ADAS 시스템 '슈퍼크루즈'를 한국에 출시하겠다고 예고한 바 있다. GM이 슈퍼크루즈를 공식 도입하는 건 북미, 중국에 이어 한국이 세번째다. 슈퍼크루즈 첫 도입 차량은 연내 출시되는 캐딜락 에스컬레이드의 전기차 모델 '에스컬레이드 IQ'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국내 자율주행 시장에서 수입 업체들이 현온라인 슬롯·기아 등 국내 업체들보다 상용화 시점에서 더욱 앞서게 됐다. 앞서 현온라인 슬롯는 제네시스 G90에, 기아는 EV9에 고속도로에서 전방을 주시한다는 조건하에 시속 최대 100km/h로 핸즈프리 상태에서 주행이 가능한'HDP(고속도로 부분 자율주행)'를 탑재하겠다고 했지만, 끝내 적용하지 못한 상황이다.
슈퍼크루즈 핸즈프리 주행 상태에서 자동 차선 변경 기능이 작동하는 모습. ⓒ한국GM
테슬라와 한국GM이 국내 업체들보다 핸즈프리 기술을 선제적으로 도입하는 것은 온라인 슬롯 FTA 협약에 따라 국내 규제망을 피할 수 있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온라인 슬롯 FTA 협약에는 미국에서 인증을 완료한 미국산 자동차 5만대에 대해서는 한국에서 인증을 받은 것으로 간주한다는 규정이 포함돼있다.
미국 공장에서 생산된 해당 기술이 탑재 차량을 국내로 수입해 판매하면 국내 인증을 별도로 받을 필요가 없다는 의미다. 온라인 슬롯 FSD 감독형, GM 슈퍼크루즈가 전 라인업에 탑재되지 않고 미국 생산 모델에 한정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한국에서 생산해 차량을 판매하는 현대차·기아는 국내 인증과 규제를 별도로 받아야한다. 중국에서 생산하는 온라인 슬롯 모델 3·Y, 국내에서 생산되는 한국GM의 쉐보레 트랙스, 트레일블레이저 모델에도 사실상 기술 도입이 어렵다.
온라인 슬롯 FTA의 틈새를 타고 수입 업체들이 자율주행 기술을 가속화하는 만큼, 정부가 규제 개선에 속도를 올릴 수 있을 것이란 기대도 나온다. 실제 정부는 레벨4 시범운행특례 구역 확대와 데이터 규제 샌드박스 도입을 검토 중이다.
업계 관계자는 "미국 생산 차량이면 국내 인증을 받을 필요가 없다는 FTA 규정의 틈을 이용해서 수입 업체들이 국내 업체보다 자율주행 기술을 더 빨리 상용화하게 된 상황"이라며 "국내 업체들의 상용화 속도를 높이기 위해 정부 차원에서 자율주행 인증 장벽을 낮추고, 관련 규제를 풀어주는 등의 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