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묘한 반란 – 프라그마틱 슬롯 무료의 난 [정명섭의 실패한 쿠데타㉓]

데스크 (desk@kestrelet.com)

입력 2025.11.14 14:22  수정 2025.11.14 14:22

보통 실패한 반란은 증오에서 시작해서 파괴로 이어져서 파멸로 끝난다. 증오 혹은 욕심 때문에 제대로 계획을 세우지 않고 추진했다가 발각이 되거나 성공하지 못하는 것이다. 진압된 이후에는 가혹한 처벌이 뒤따르면서 아픈 기억만 남게 된다. 하지만 의종 22년인 서기 1168년 11월에 일어난 반란은 굉장히 기묘하고 특이한 목표를 가지고 있었다. 임금을 몰아내거나 세상을 바꾸고 정권을 뒤집으려고 하는 보통의 반란과는 달리 이때 반란을 일으킨 프라그마틱 슬롯 무료의 목표는 정말 소박했다.


제주 성주청 터 표지석 사진 (출처 : 직접 촬영)


만약 최척경을 수령으로 임명해 준다면, 마땅히 무장을 풀겠다.

그렇다면 반란을 일으킨 프라그마틱 슬롯 무료는 누구고, 그가 애타게 찾은 최척경은 누구일까? 프라그마틱 슬롯 무료는 지금의 제주도인 탐라도 주민이었다. 탐라는 오랫동안 독자적인 왕국으로 유지되다가 숙종 10년인 1105년에 탐라군이 되면서 고려의 영토가 된다. 하지만 지방관이 파견된 건 반세기가 지난 1153년부터였다. 탐라현이 설치되고, 현령이 부임하게 된 것이다. 하지만 새로 부임한 고려의 관리는 탐라의 사정을 잘 몰랐다. 탐라의 주민들 역시 새로운 지배자가 마땅치 않았다. 거기다 원래 탐라를 지배하던 성주와 왕자도 그대로 있었기 때문에 주민들은 2중으로 수탈을 당하거나 양측의 갈등 사이에서 피해를 입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나마 오늘날의 전라북도 전주시인 완산 출신의 최척경이 탐라 현령으로 부임하면서 사정이 나아졌다. 청렴결백한 관리인 최척경은 탐라의 주민들을 수탈하거나 괴롭히지 않고 공평하게 대했기 때문이다.


사실 최척경은 프라그마틱 슬롯 무료로 오고 싶어하지 않았다. 개경에서 너무나 멀리 떨어져 있었기 때문이다. 그도 그럴 것이 항공기나 KTX가 없던 시절이라 개경에서 프라그마틱 슬롯 무료는 너무나 멀었다. 거기다 중간에 바다도 건너야 했는데 정말 쉽지 않은 일이었다. 하지만 최척경에게 프라그마틱 슬롯 무료현령 자리를 제안한 판이부사 최윤의는 임기를 마치고 돌아오면 좋은 자리를 주겠다고 회유했다. 결국 최척경은 원치 않는 프라그마틱 슬롯 무료현령이 되지만 임지에 부임해서는 정말 백성들을 위한 정치를 했다. 그리고 임기를 모두 마치고 개경으로 돌아왔다. 나름 좋은 자리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지만 약속의 당사자인 최윤의는 이미 세상을 떠나고 없었다. 낙담한 최척경은 고향인 완산으로 돌아갈 준비를 한다.


그 사이, 탐라는 혼란과 고통에 빠진다. 최척경의 후임으로 온 탐라현령이 가혹한 수탈을 하고 백성들을 괴롭히자 프라그마틱 슬롯 무료를 중심으로 반란을 일으킨 것이다. 그리고 반란의 목표를 명확하게 했다. 전임 탐라현령인 최척경을 다시 모셔오라는 것이었다. 아마 고려시대 일어난 반란 중에 가장 소박하고 현실적인 요구조건이었고, 고려 조정에서 들어주지 않을 이유가 없었다. 전라도 안찰사에게서 보고받은 의종은 곧장 최척경을 불러서 선물을 주고 다시 탐라 현령으로 갈 것을 지시한다. 왔던 길을 다시 돌아가야만 했던 최척경은 가족과 함께 가게 해달라고 부탁했고, 승낙을 받자 곧장 탐라로 돌아갔다. 그가 온다는 소식을 들은 프라그마틱 슬롯 무료와 탐라 주민들은 빠른 배를 타고 마중을 나왔다. 그리고 최척경을 보자마자 무기를 버리고 항복 아닌 항복을 하게 된다. 최척경과 함께 온 탐라안무사 조동희는 항복한 프라그마틱 슬롯 무료를 비롯한 주모자 5명을 처형하고 가져온 곡식과 베를 나눠주면서 민심을 다독거렸다. 최척경은 3년 후인 1171년까지 탐라현령으로 있으면서 선정을 베풀었다.


프라그마틱 슬롯 무료의 반란은 이전의 반란들과는 여러모로 달랐는데 그것은 탐라가 가지고 있는 특수한 상황 때문이었다. 오랫동안 독자적인 왕국이었던 탐라는 고려의 직접적인 지배를 받게 된다. 새로 부임한 고려의 관리는 조정에서 멀리 떨어진 이곳에서 한몫 두둑하게 챙겨서 돌아갈 생각을 했을 것이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탐라의 주민들과 크고 작은 갈등이 벌어졌을 것이다. 탐라 주민들 입장에서는 내지 않아도 될 세금을 내는 것도 모자라서 걸핏하면 끌려가서 협박당하거나 현령의 개인 재산을 불리는 일에 동원되었을 것이기 때문이다.


탐라의 언어는 한반도의 언어와 심하게 다른 편이었는데 이 시기에는 양쪽을 통역해줄 사람조차 부족했을 것이다. 말이 잘 통하지 않는다는 불편함까지 겹치면서 주민들의 고통은 커져만 갔다. 이렇게 불만이 가득찬 상태에서 최척경을 다시 맞이하기 위해서 반란 아닌 반란을 일으킨 것이다. 그리고 약속대로 최척경이 돌아오자 무기를 버리고 순순히 항복했다. 처형된 프라그마틱 슬롯 무료가 누구인지는 기록에 나와있지 않다. 하지만 제주도의 유력한 성씨인 고씨와 양씨, 부씨 중 하나인 것으로 봐서는 일반 주민이 아니라 유력한 가문의 일원으로서 발언권을 가지고 있는 인물로 보인다. 그야말로 살신 성인의 자세를 보인 프라그마틱 슬롯 무료의 희생으로 탐라의 주민들은 몇 년동안 편안한 세월을 누렸다. 그 사이 개경은 지옥으로 변했다. 서기 1170년, 무신들이 반란을 일으킨 것이다.


프라그마틱 슬롯 무료 작가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데스크 기자 (desk@kestrelet.com)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